☕ Java

    Java의 플랫폼 독립성

    컴퓨터가 알아듣는 0과 1은 기본 명령이라고 한다. 어떤 다른 프로그램을 돌려도 결국 일어나야 할 일은 각 운영체제를 위해 기본 명령으로 바뀌게 되기 때문에 윈도우의 명령은 리눅스와 유닉스 등 다른 운영체제의 명령과 다르다. 자바가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작동되는 것을 플랫폼 독립성이라고 한다. 자바는 왜 플랫폼 독립성을 갖게 되었을까? 자바는 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을 만들어 뒀는데 그것을 바이트 코드라고 한다. 바이트 코드는 운영체제 상관 없이 공통적인 포맷을 취하는데 정작 운영체제들은 기본 적인 명령을 제외한 바이트 코드를 이해하지 못한다. 이 때 JVM이 바이트 코드를 각 운영 체제의 특정한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바꿔준다. 바이트 코드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? 자바 프로그램을 짜고 ..

    float 타입 정의 시 값 뒤에 f를 붙이는 이유?

    float f = 2.5f; 숫자 뒤에 f를 붙이는 이유는? 컴퓨터에게 float 타입이라는 것을 알리려고 붙인다. f를 붙이지 않으면 더 큰 실수타입인 double로 인식을 하게 되고 float에는 더 큰 타입의 값을 넣지 못해 에러를 띄울 수 있다.

    변수명 짓는 규칙

    필수로 지켜야 하는 4가지 1. 문자, 숫자, $ (달러 기호), _ (언더바)를 사용하여 변수명을 짓는다. 2. 변수명을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 3. 자바의 키워드로 변수명을 지어서는 안된다. 4. 식별자 (변수, 상수 등..)는 길이 제한이 없다. 일반적인 관례 CamelCase로 작성한다.

    변수를 저장하면 메모리에서는?

    Memory Location Value Name 4575 30 c 4353 10 a 4564 2345 5475 20 b 3454 int a = 10를 선언하면 메모리의 어딘가에 name과 value가 저장된다. int b = 20도 마찬가지. int c = a + b를 선언하면 a + b는 30. 30이 c에 저장된다. 사실 변수를 생성, 수정하는 것은 실제로 메모리의 값이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이름은 특정 메모리의 위치를 저장해두는, 즉 참조하기 위해 주는 것이다.